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획/특집
기획취재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
기사입력: 2018/02/13 [12:10]   울산여성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UWNEWS

설날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말밑(어원)을 살펴보면 ‘설다, 낯설다’의 ‘설’에서 설 역시 처음 맞이하는 ‘낯설은 날’로 생각한 까닭에서 비롯한다는 이야기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럽다’는 뜻의 ‘섧다’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 다른 유래로는 ‘삼가다’라는 뜻을 지닌 ‘사리다’의 ‘살’에서 비롯했다는 설도 있다. 각종 세시풍속 책에는 설을 신일(愼日)이라 해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표현했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골목을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설빔을 입고, 가족 및 친척들이 모여들어 정초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순서를 따져 세배를 올린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준다.

 
이날 조상의 무덤을 찾아나서는 성묘도 진행된다.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는 것이다.

 
아울러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양괭이 쫓기’라는 것이 있다. 양괭이 또는 야광귀(夜光鬼)라는 귀신은 설날 밤, 사람들이 사는 집에 내려와 아이들의 신을 두루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가버린다.

 
그러면 그해 그 신의 주인에게는 불길한 일이 일어난다고 믿었다. 그래서 아이들은 모두 신을 감추거나 뒤집어놓은 다음 잠을 잤다. 그리고 채를 마루 벽에 걸거나 장대에 걸어 뜰에 두었다. 그러면 양괭이가 와서 수없이 구멍이 나 있는 신기한 물건이 있는 것을 보고 그 구멍을 세느라고 아이들의 신을 훔칠 생각을 잊고 있다가 닭이 울면 도망간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밖에도 윷놀이·종정도놀이·널뛰기·연날리기 같은 세시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차례상, 어떻게 차려야 할까?

고유의 명절이면 준비하게 되는 차례상은 차례상은 각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다르게 차릴 수 있으며, 상차림은 제사와 동일하다.

 
각자의 방식에 따라 차례상 위에 음식을 차리는 것을 진설(陳設)이라고 한다.

 
진설(陳設)은 명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설날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기본적인 차례상 차림은 5열이다.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앞 줄, 다시 말해 신위각주1) 에서 가장 먼 줄이 다섯 번째 줄(5열)이다. 주로 5열에는 과일류가 진설(陳設)되며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류를 올린다.

 
5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는 ‘조율이시(棗栗梨枾) 혹은 조율시이(棗栗枾梨), 홍동백서(紅東白西)’가 있다.

 
조율이시(棗栗梨枾)는 좌측부터 조(棗)는 대추, 율(栗)은 밤, 이(梨)는 배, 시(枾)는 곶감의 순으로 올린다는 의미이며, 조율이시(棗栗梨枾)와 함께 조율시이(棗栗枾梨)도 가능하다.

 
아울러 홍동백서(紅東白西)는 동쪽에는 붉은 과일, 서쪽에는 흰 과일을 올린다는 뜻이다.

 
두 번째 줄(4열)에는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가 올라간다. 지역에 따라 포, 식혜는 3열 또는 4열에 올리는 경우가 있다.

 
4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좌포우혜(左胞右醯), 서포동해·혜(西脯東醢·醯), 숙서생동(熟西生東) 또는 생동숙서(生東熟西)’가 있다.

 
좌포우혜(左胞右醯)는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올린다는 의미이며, 서포동해·혜(西脯東醢·醯) 역시 서쪽에는 포, 동쪽에는 생선젓과 식혜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숙서생동(熟西生東)은 서쪽에는 익힌 나물, 동쪽에는 생김치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세 번째 줄(3열)에는 육탕(육류), 소탕(두부, 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3가지 종류의 탕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적(구이)이 2열 또는 3열에 올리는 경우가 있다. 3열에는 양쪽으로 촛대를 올린다.

 
3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 는 동쪽에는 생선, 서쪽에는 육류를 올린다는 의미인 ‘어동육서(魚東肉西)’가 있다.

 
두 번째 줄(2열)에는 서쪽에서부터 육전(기름에 부친 전), 육적(고기 구운 것),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 어전(기름에 부친 것)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2열에는 면, 탕, 떡, 간장이 올리는 경우가 있다.

 
2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는 동쪽에 머리를 향하고, 서쪽에 꼬리를 향한다는 의미의 ‘동두서미(東頭西尾), 적(구이)는 중앙에 올린다는 뜻의 적접거중(炙楪居中)’이 있다.

 
상을 차리는 사람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첫 번째 줄(1열)에는 주로 수저, 밥, 잔, 국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 1열에는 메(밥), 갱(국), 숭늉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명절에 따라 떡(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1열과 관련된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로는 좌측에 메(밥), 우측에는 갱(국)을 올린다는 뜻의 ‘좌반우갱(左飯右羹)’이 있다.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는 각 지역별로 특색을 가진 음식을 차례상에 올린다. 

 
충청도 차례상에는 삶은 닭고기, 대구포, 상어포, 가오리포, 오징어, 피문어 등의 건어물 또는 홍어, 병어, 가자미, 낙지, 서대묵 등을 올린다.

 
전라도 차례상에는 대표 음식인 홍어를 비롯하여 병어, 낙지, 꼬막 같은 어패류 등을 올린다.

 
경상도 차례상에는 대구, 돔배기, 문어, 안동 식혜, 조기,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을 올린다.

 
특히 차례상에는 삼치, 꽁치, 갈치 등 ‘치’자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 ‘치’로 끝나는 생선은 과거 흔하고 값이 저렴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조상님의 혼령을 쫓는다는 이유로 올리지 않는다. 또한 고추가루와 같은 붉은 양념은 쓰지 않으며 강한 향신료인 마늘 양념도 사용하지 않는다. 음식의 간은 간장 대신 소금으로 하며, 맵거나 자극적이지 않게 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임영석 시인의 금주의 '詩'] 눅눅한 습성 / 최명선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인기기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