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뉴스
문화/예술
울산 북구, 쇠부리터 첫 발굴조사 나섰다
대안동쇠부리터 대상, 울산 철 생산 유적 뿌리 찾기
기사입력: 2019/01/18 [09:38]   울산여성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문모근 기자
▲ 울산 대안동 쇠부리터 시굴조사 모습     © UWNEWS

 

[울산여성신문 문모근 기자] 울산의 대표적인 철 생산 유적지인 북구 대안동 쇠부리터에 대한 첫 발굴조사가 이뤄진다.

 

울산시 북구(구청장 이동권)는 시지정 기념물 제44호로 등록된 ‘대안동 쇠부리터’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를 1월 중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북구에 따르면 대안동 쇠부리터는 1천660㎡ 크기로, 삼한 시대 이래 영남지역 최대의 철 생산지였던 인근 달천철장의 토철을 이용해 쇠를 만들던 곳이다.

 

‘쇠부리’란 ‘쇠를 부리다’라는 뜻으로 토철이나 철광석 등의 원료를 녹여 쇠를 만드는 모든 제철 작업을 말한다. 대안동 쇠부리터는 ‘깊은 골’로 불리는 동대산에 자리 잡고 있다. 옆에는 작은 개울이 흘러 제철 작업에 필요한 숯과 물을 쉽게 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는 높이 1m, 지름 2m 크기의 철 생산 중심 시설인 노(爐·가공할 원료를 넣고 열을 가해 녹이는 시설) 일부가 잘 남아 있어 이 분야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노 양쪽으로는 약 3m 길이의 축대도 보존돼 있다.

 

또 쇠부리터 주변에는 숯을 구웠던 흔적과 쇠똥(슬래그) 등이 남아 있어 제철 작업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고대 제철기술의 흔적을 간직한 대안동 쇠부리터에 대한 발굴조사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북구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쇠부리터에 남은 노의 모양과 구조 등을 분석하고, 슬래그의 성분을 확인할 예정이다. 북구는 발굴조사 결과를 울산의 쇠부리 문화 보존·복원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북구는 발굴조사에 앞서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울산발전연구원을 통해 시굴조사를 시행했다. 시굴조사는 노를 중심으로 발굴조사의 범위를 어디까지 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 사전조사 성격이라고 북구는 설명했다.

 

북구는 이달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발굴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발굴조사는 울산발전연구원이 맡아 3월에 완료되는데, 시굴·발굴조사에 총 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구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가 마무리되면 북구가 지속해서 추진하는 쇠부리 기술·문화 복원 사업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한편, 북구는 달천철장과 쇠부리터 등 철 생산지의 역사를 가진 지역 정체성을 살리고, 철기 문화를 계승하고자 2005년부터 매년 ‘울산쇠부리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2016년부터는 축제 기간에 전통 방식으로 철을 생산하는 ‘쇠부리 제철기술복원 실험’을 매년 시행하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임영석 시인의 금주의 '詩'] 눅눅한 습성 / 최명선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인기기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