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김옥길의예절산책)
Ⅲ. 인사말 중 첨절(僉節) 이란 ?
기사입력: 2007/04/05 [16:45]   울산여성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김옥길 (사)한국전례원 울산지원장

50여년전 시골에 살 때 인사를 할때는 첨절없으신가? 첨절 어떠신가? 하고 인사말을 합니다. 무슨 뜻입니까? 궁급합니다.
 
 첨절(僉節)이란 단어는 한글사전에도 찾아볼 수 없는 귀(貴)한 말입니다.
 그 뜻은 모두 별고(別故: 별다른 탈이) 없느냐? 라는 뜻입니다.
 요즈음에 잘 쓰이지 않는 것은 집성촌에서 많이 쓰는 집성촌 전용말입니다.
 아직도 시골 집성촌에서는 이말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우리 고향에도 `첨절`이란 말의 에피소드가 하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첨절 없으신가?`하고 인사를 하니까 무지한 사람이 그 말의 뜻을 모르고 자기 어른(부친)이 대리(마을이름) 동에 갔기에 인사에 답하는 말이 `첨절이 대리 갔네`라고 하여 우리 고향 해학(諧謔: 품의 있는 조롱)으로 남아 있습니다.

 

Ⅳ. 문상(問喪)때 `신양`이란 말의 뜻은


 아버님이 돌아가셔서 상주가 되어 문상을 받고 있는데 손님이 `대고(大故)에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시양이 오래 계셨습니까`하고 묻는데 `시양`이 무슨 말입니까?
 
 시양이 아니고 신양(身恙)입니다. 몸신(身), 병양(恙)자로, 망자(亡者)의 병환이 오래 지속 되었습니까? 라는 뜻입니다.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말입니다.
 유식한 선비층에는 아직도 이 말을 상가에서 혹은 우환이 지속되는 가정에 인사말을 할 때 자주 쓰는 용어입니다.
한국전례원 울산광역시지원 (☎ 273-0212)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임영석 시인의 금주의 '詩'] 눅눅한 습성 / 최명선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인기기사 목록
 
광고